브로케이드 샌스위치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조닝할 수 있습니다.
설정 확인 -> Alias 생성 -> Zone 생성 -> Config내에 Zone 추가 -> Config 활성화
1. 설정 확인
- 케이블을 연결하고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 Domain ID를 확인합니다.
- 해당 포트에서 확인되는 WWN이 장비쪽에서 확인한 WWN과 동일한지 확인합니다.
- 장비에 원하는 포트에 해당 케이블이 체결되어 있나 확인합니다.
장비 접속후 아래와 같이 "switchshow" 명령어를 쳐줍니다.
BROCADE:FID128:admin> switchshow
switchName: BROCADE
switchType: 66.1
switchState: Online
switchMode: Native
switchRole: Principal
switchDomain: 1
switchId: fffc01
switchWwn: 10:00:00:00:00:00:00:a0
zoning: ON (cfg)
switchBeacon: OFF
FC Router: OFF
Allow XISL Use: OFF
LS Attributes: [FID: 128, Base Switch: No, Default Switch: Yes, Address Mode 0]
Index Port Address Media Speed State Proto
==================================================
0 0 010000 id N8 No_Light FC
1 1 010100 id N8 No_Light FC
2 2 0102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a0:00
3 3 0103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4 4 0104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5 5 0105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6 6 0106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7 7 0107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8 8 0108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9 9 0109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0 10 010a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1 11 010b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2 12 010c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3 13 010d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4 14 010e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5 15 010f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6 16 011000 id N8 No_Light FC
17 17 011100 id N8 No_Light FC
18 18 0112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19 19 0113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20 20 0114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21 21 011500 id N8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22 22 011600 id N8 No_Light FC
23 23 011700 id N8 No_Light FC
24 24 011800 id N8 No_Light FC
25 25 011900 id N8 No_Light FC
26 26 011a00 id N4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27 27 011b00 id N4 Online FC F-Port 50:00:00:00:00:00:b0:00
28 28 011c00 id N8 No_Light FC
29 29 011d00 id N8 No_Light FC
30 30 011e00 id N8 No_Light FC
31 31 011f00 id N8 No_Light FC
32 32 0120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3 33 0121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4 34 0122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5 35 0123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6 36 0124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7 37 0125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8 38 0126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39 39 012700 -- N8 No_Module FC (No POD License) Disabled
확인해야 할 부분은 switchName, switchDomain, zoning, 해당 포트 WWN 입니다.
(1) 작업 대상 스위치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 switchName을 보면 됩니다. 위 예시의 경우 "BROCADE"가 스위치 명입니다.
-> 사전 전달된 스위치 이름과 다를 경우, 직접 혹은 담당자에게 확인합니다.
(2) zoning 부분에서 현재 활성화된 config가 어떤 것인지 확인합니다.
-> zoning 부분을 보면 됩니다. 위 장비의 경우 cfg가 현재 활성화된 config 입니다.
-> Zone 추가 및 활성화를 위해 필요합니다.
-> 활성화된 cfg가 없을 경우, cfgcreate로 config를 생성 후, 추가하는 식으로 진행합니다. 새 스위치의 경우.
(3) 해당 포트에 표시되는 WWN이 장비에서 확인한 WWN이 맞는지 확인합니다.
-> 여기서는 2, 3번 포트를 묶는 걸 예시로 하겠습니다.
-> 예시 상에서 2번 포트는 "50:00:00:00:00:00:a0:00", 3번 포트는 "50:00:00:00:00:00:b0:00"의 WWN을 가지고 있습니다.
-> WWN이 다르게 표시될 경우 직접 혹은 담당자에게 확인합니다.
-> 해당 포트에 표시되는 WWN이 다를 경우 아래와 같은 경우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케이블이 잘못된 경우
--> 장비측에서 확인한 WWN이 잘못된 경우
-> 해당 포트에 WWN이 표시되지 않고 No Light일 경우 아래와 같은 경우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반대편 장비 전원이 안 켜진 경우
--> 케이블이 물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 (체결이 덜 됨 혹은 실제 케이블 단선)
--> 서버측 GBIC, 장비측 GBIC 문제
--> 장비측 하드웨어 불량
--> 스위치 하드웨어 불량(포트불량)
2. Alias 생성
- WWN 네임을 기반으로 Alias를 생성하는 단계입니다.
- Alias는 두가지 방식으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 WWN을 기반으로 한 Alias 생성, Port Level을 기반으로 한 Alias 생성
- 일반적으로 WWN을 기반으로 한 Alias를 사용합니다. Port Level의 경우 잘 쓰이지 않습니다.
Alias는 1:1, 혹은 1:N의 관계를 가집니다.
1:1의 경우 이렇게 생성합니다.
alicreate "Aliasname", "Member1"
1:N의 경우 이렇게 생성합니다.
alicreate "Aliasname", "Member1;Member2;...;MemberN"
Aliasname에는 원하는 Aliasname을 적습니다. 관리하기 편한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Member는 WWN혹은 Port를 적습니다.
- WWN의 경우 똑같이 적어주시면 됩니다.
- Port의 경우 Domain,PortNO로 적어 줍니다. (예시 : 1,1;1,3;1,4) - 잘 쓰이지 않습니다.
위의 예시상 Port 2, 3번에 연결된 Device 1, 2번에 대해 alias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관리하기 편한 이름을 쓰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포트번호_장비이름 으로 하겠습니다)
alicreate "P2_Device1", "50:00:00:00:00:00:a0:00"
alicreate "P3_Device2", "50:00:00:00:00:00:b0:00"
- 따옴표 꼭 쓰셔야 합니다.
alias가 추가되었는지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합니다.
alishow | grep AliasName
3. Zone 생성
- 위에서 생성한 Alias를 기반으로, Alias끼리 서로 묶어주는 단계입니다.
- 최종적으로 Config를 활성화 하면 해당 Zone내에 포함된 장치들끼리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Zone은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1:N으로 사용합니다.
Zonename에 Zone이름을 적고, Alias를 Member에 적어 줍니다.
zonecreate "Zonename","Member1;Member2"
zonecreate "Zonename", "Member1;Member2...;MemberN"
위에서 만든 P2_Device1, P3_Device2 간의 Zone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zonecreate "P2_Device1_P3_Device2", "P2_Device1;P3_Device2"
Alias와 마찬가지로 이름은 관리하기 편한 이름을 넣으시는게 좋습니다.
Zone이 생성되었는지는 ZoneShow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Zoneshow | grep P2_Device1_P3_Device2
4. Config 내에 Zone 추가
- 현재 활성화된 Config를 확인하고 Config내에 Zone을 추가하는 단계
- 이 단계까지는 저장되지 않은 상태이며, Zone내에 포함된 장치들 사이에서도 통신은 불가능합니다.
cfgadd 명령어를 통해 아래와 같이 Zone을 Config내에 추가해줍니다.
cfgadd "Configname", "Zonename"
위에서 추가한 Zone을 cfg내에 포함해줍니다.
cfgadd "cfg", "P2_Device1_P3_Device2"
만약 이 단계에서 활성화는 하지 않고, 지금까지의 내용을 저장하고 싶다면, cfgsave 커맨드를 이용합니다.
(현재 활성화된 구성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5. Config 활성화
- Zone이 추가된 Config를 최종적으로 활성화 하는 단계입니다.
- 이 단계가 끝나면 해당 Config를 기반으로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cfgenable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Config를 활성화합니다. 커맨드를 치기 전에 한두번 더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지금까지 작업의 경우 오타가 나더라도 큰 문제는 없으나, 이 단계의 경우 실제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cfgenable "ConfigName"
예시로 작성한 값을 활성화 해보겠습니다.
cfgenable "cfg"
- 경고 메세지가 나옵니다. 다시 한번 더 확인하고 맞는 경우 "y"를 치고 엔터를 쳐서 활성화합니다.
- 예시
BROCADE:FID128:admin> cfgenable cfg4
You are about to enable a new zoning configuration.
This action will replace the old zoning configuration with the
current configuration selected. If the update includes changes
to one or more traffic isolation zones, the update may result in
localized disruption to traffic on ports associated with
the traffic isolation zone changes
Do you want to enable 'cfg' configuration (yes, y, no, n): [no] y
zone config "cfg" is in effect
Updating flash ...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N Switch] 따따네임 조닝, 포트조닝(WWN Zoning, Port Zoning) (0) | 2020.02.24 |
---|
댓글